CTO에 대해서는 좋은 아티클을 추천한다면 개인적으로 #define CTO와 함께 What does a CTO do?를 공유하곤 하는데, 그 중 후자가 더 CTO가 해야할 역할에 대해 잘 기술해 놓은 것 같아서 원저자의 하락하에 번역해 봅니다. What does a CTO do? 아티클의 저자는 Cloudera의 Founder이자 CTO인 Amr Awadallah입니다.
이 질문은 내가 많이 받은 질문이기도 하고, 1년 전(2012년에 Cloudera CTO가 되었을 때)만 해도 이에 대한 해답을 찾으려고 노력을 많이 했다. 그래서 온라인상에서 자료도 많이 찾았고, 많은 소프트웨어 기업의 CTO들을 찾아 논의하기도 했다.
여기에서는 내가 가진 지식과 조사 결과들을 가지고 다음 네가지 물음에 대한 답변을 요약하고자 한다.
- 질문 1. CTO의 미션(사명)은 무엇일까?
 - 질문 2. CTO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평가되어야 할까?
 - 질문 3. CTO는 사내 업무와 대외 업무를 어떻게 시간을 배분해야 할까?
 - 질문 4. 회사의 내부 구성원들에게 CTO가 달성해야하는 구체적인 책무는 무엇일까?
 
덧붙여 말하자면, 내가 다음에 언급하는 것은 내부 엔지니어 조직을 관리하고 있는 CTO가 아닌, 순수한 CTO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일반 기업의 CTO나 다른 도메인에서는 편향되어 있을 수 있다.
1. CTO의 미션은 무엇인가?
CTO의 임무는 다음 3가지 축으로 요약될 수 있다.
A) 회사의 장기적인 기술 전략 책임자
- CTO는 기업의 기술 전략을 제대로 유지/관리하고, 명확하게 구체화하고, 또한 지속적으로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 CTO는 역동적으로 진화하고 있는 경쟁 영역에서 회사가 최고의 기술 성과를 지속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하는 책임이 있다.
 - CTO는 기업의 미래를 좌우하는 중요한 기술적 트렌드 정보를 세상으로부터 식별하고, 기업 내부에 적절하게 연결하며, 그리고 기술 전략과 비즈니스 전략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B) 기술 책임자(테크니컬 에반젤리스트)
- CTO는 회사의 장기적인 비전을 중심으로 내부 사람들에게 영감과 흥미를 유발해야 한다. 또한 외부의 사람들에게는 세상은 결국 그렇게 될 것이며, 자신의 회사가 최선의 선택임을 확신시켜야 한다.
 - CTO는 시장의 요구를 강조해야하고, 고객을 신뢰할 수 있어야 하고, 비즈니스 가치와ROI(투자 수익률)을 폭넓은 이해당사자들에게 명확하게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
 
C) 엔지니어들의 정신적 리더
- CTO는 엔지니어 팀을 회사의 장기적인 기술적 목표를 향해 이끌어야 한다.
 - CTO는 새로운 엔지니어가엔지니어 조직에 합류할 수 있도록 영감을 주어야 하며, 인재를 식별하고 조직에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 CTO는 최고의 기술 인재를 유치하고, 이탈없이 지속적으로 보유할 수 있도록 기술 문화도 만들고 유지해야 한다.
 
2. CTO의 성과를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나는 다음 세 가지 측면이 있다고 생각한다.
A) 기술 전략의 방향성 조정
이것은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만약 기업이 핵심 기술 동향을 놓치면 불리해지고, 또한, 기술 전략과 비즈니스 전략의 중대한 불일치가 있는 경우에도 불리해진다. 이 점에 관해서는 썬 마이크로 시스템즈의 Greg Papadopolous의 말을 인용한다.
“CFO는 분기별 수익에 대해 일일이 책임을 갖는 것은 아니지만, 회계에 한번이라 도 예상치 못한 잘못을 저질렀을 경우 해고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CTO는 분기별 출시되는 제품에 대해 일일이 책임을 질 필요는 없지만, 만약 핵심 기술의 변곡점(예, 인터넷)을 놓치면 그를 해고해야 한다.”
B) 엔지니어 문화의 건강성 체크
기술 조직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엔지니어의 행복도나 생산성이 동시에 보장 되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 그 지수에 문제가 있는 경우, 기존의 우수한 엔지니어는 마찰을 느끼게 되는 것이고, 외부의 재능있는 엔지니어를 유치 할 수 없다.
C) 회사의 내부 고객 만족도
CFO와 유사한 CTO는 회사내의 모든 직원들에게 고객 지원 센터 같은 존재다. 따라서 적절한 측정 항목은 조직 내부의 직원 만족도가 될 수 있다. CTO 대한 직원 만족도(CTO로부터 부가가치를 얻고 있지 못하다고 느끼면)가 낮으면 그를 해고해야 할 것이다.
3. CTO는 사내 업무와 대외 업무를 어떻게 시간을 배분해야 할까?
이 문제에 대한 완벽한 답은 없지만, 옳은 대답은 둘다 조금씩 존재한다. 외부의 지식 없이는 CTO는 조직 내에서 좋은 일을 할 수 없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둘 모두(내부/외부 업무)를 해야만 CTO는 조직의 비즈니스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가족이나 여행을 생각해야 한다. CTO는 조직내에서 지속적으로 일해야하므로 당신만의 최적의 장소도 찾아야 한다. 이에 대한 답은 회사가 어떤 단계에 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이런 배후 사정을 고민해서 오늘이라는 하루를 다음과 같이 구분했다.
A) 외부: 70%
- 판매/고객관리: 35%
 - 마케팅/기술 전도사/산업 분석: 20%
 - 비즈니스 기획/파트너 관리: 15%
 
B) 사내: 30%
- 외부에서 수집한 정보들을 내재화 해 그 지식을 적절한 내부팀에 공유한다.
 - 기술과 제품, 비즈니스를 지속적으로 연결하여 공개적으로 명시된 비전에 회사가 현재 가고 있는 방향과 일치하는지, 기술 로드맵이 회사의 비전과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 회사의 비전을 명확히 표현하는 White Paper나 산출물을 만들기 위해 마케팅 팀 지원을 함.
 - 엔지니어 문화, 프로세스, 인력 유지 등
 - 지적 재산권 포트폴리오 보호
 

